 |
멀티피직스시스템 설계 연구실 l 김윤영 교수 
본 연구실은 역학기반 설계을 위한 기초이론부터 고급적용을 다룬다. 현재 본 연구실에 제공하는 과목으로는 고체역학 (학부), 역학과 파동 (학부), 최적설계 (학부), 탄성학(대학원), 탄성파(대학원) 등이 있다.
|
 |
시뮬레이션주도 구조설계 연구실 l 김도년 교수 
유한요소법 등의 전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구조해석 및 설계 연구를 수행하며, 메타물질의 설계 및 해석 연구와 DNA, 단백질 등의 생체분자 기반 바이오구조물의 효율적인 전산해석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물리적 환경하에 구조물의 복잡한 역학적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기법의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수행 중이다.
|
 |
시스템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연구실 l 윤병동 교수 
기계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및 예지에 필요한 개념을 교육에 반영하여 고체강도거동학(학부), 역학과 설계 (학부), 기계시스템 설계 (학부), 통계기반 공학해석 및 설계 (대학원) 등의 수업을 개설한다.
|
 |
지능구조설계 연구실 l 조맹효 교수 
지능구조설계 연구실에서는 연속체역학, 분자동역학 및 제일 원리 계산 등 서로 다른 스케일을 연결하는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나노복합재료, 리튬이차전지, 형상기억합금 등 다양한 지능 재료의 미시구조를 고려한 거시적 거동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빛으로부터 기계적 거동을 일으키는 광반응 구조체에서 일어나는 다중 물리 현상의 메커니즘을 멀티스케일/멀티피직스 기법으로 규명한다.
|
 |
로봇 자동화 실험실 l 박종우 교수 
로봇 조작, 동작 최적화, 제어, 학습, 설계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통합적으로 리 그룹과 미분기하학에서의 개념과 도구들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문제들에 접근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에는 최적 경로 생성을 위한 실시간 알고리즘, 제약 조건하에서 표본 추출 기반의 동작 계획, 기계학습을 이용한 로봇 동작 학습 및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
 |
생체 시스템 공학 연구실 l 신용대 교수 
분자 레벨에서 세포 및 조직 단위에 이르기까지 그 거동을 여러 실험 기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역학적 모델링을 통해 생체 시스템이 어떻게 기계적 상호작용을 하는지 해석한다. 나아가 단백질 및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해 다양한 생체 시스템에 대한 제어 기술을 연구한다.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시스템을 설계 및 생산하는 것이 중장기적 목표이다.
|
 |
첨단 생산 기술 및 스마트 소재 연구실 l 이호원 교수 
3D 프린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생산·제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로봇, 자동차, 항공, 국방, 의료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기술이다. 본 연구실은 지능형 스마트 소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고, 첨단 프린팅 기법 개발 및 적용을 통해 4D프린팅, 소프트로봇, 메타물질, 바이오프린팅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