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수료 요건
: 등록횟수 4회 이상 8회까지, 24학점 이상, 전 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성적 평점평균 3.0이상
학점취득
- 24학점 이상 취득, 논문연구학점(지도교수가 개설한 과목 신청) 6학점 이내
-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수료학점의 1/2 범위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이 경우 수강신청 시 “이수승인신청서(학사행정-양식-[대학원] 타학과(부) 대학원, 학사과정 교과목 이수승인신청서)” 를 학부사무실로 제출(학사과정 교양 교과목은 인정불가). 단, 수료학점의 1/2범위 산정시, 수료학점에서 논문연구학점을 제외한 잔여 학점을 기준으로 함(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예) 논문연구 과목을 6학점 이수한 경우 (24-6)/2 = 9학점까지만 인정 가능.
- 학사 과정에서 취득한 대학원 학점은 학사과정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은 학점으로 학점이 B0 이상인 교과목에 한하여 6학점까지 석사과정 수료학점에 포함할 수 있음. 이 경우 학기 초 통산인정 신청 공지 시 "학/석사간 교과학점 통산인정신청서"를 작성하여 성적표와 함께 학부사무실로 제출.
- 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 12학점 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전공 교과목 이수 규정(2014학년도 입학자부터)
- 「공학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기계공학콜로키엄」필수 이수. (단, 외국인학생은 기계공학부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그룹의 핵심교과목 최소 1과목을 포함하여 핵심 및 심화교과목 6학점 이상 필수 이수.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이외의 타 세부전공 또는 타학과 교과목 3학점 이상 필수 이수.
-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은 수료학점에 포함되지 아니함.
- 논문연구는 수료학점에 6학점까지만 포함될 수 있음.
박사 수료 요건
: 등록횟수 4회이상 12회까지, 36학점 이상, 전 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성적 평점평균 3.0이상
학점취득
- 36학점 이상 취득, 논문연구학점(지도교수가 개설한 과목 신청) 12학점 이내
-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수료학점의 1/2 범위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이 경우 수강신청 시 “이수승인신청서(학사행정-양식-[대학원] 타학과(부) 대학원, 학사과정 교과목 이수승인신청서)” 를 학부사무실로 제출(학사과정 교양 교과목은 인정불가). 단, 수료학점의 1/2범위 산정시, 수료학점에서 논문연구학점(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포함)을 제외한 잔여 학점을 기준으로 함(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예) 논문연구학점(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포함)을 12학점 이수한 경우 (36-12)/2 = 12학점까지만 인정 가능.
- 석사 과정에서 24학점을 초과하여 수강한 과목은 학점이 B0 이상인 교과목에 한하여 12학점 까지 박사과정 수료학점으로 인정(서울대학교 석사과정 학위 취득자가 본교 동일학과 박사과정으로 진학 시에만 해당, 2021년도 3월 입학생부터는 '동일' 전공 간에서 '유사' 전공까지 인정범위 확대함). 이 경우 학기 초 통산인정 신청 공지 시 "석·박사간 교과학점 통산인정신청서"를 작성하여 성적표와 함께 학부사무실로 제출.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학부과목은 박사과정 통산학점 인정 불가.
- 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 18학점 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전공 교과목 이수 규정(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 「공학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석사과정에서 기 이수한 경우 인정) 및 「기계공학 콜로키엄」(석사과정에서 기 이수한 경우 인정) 필수 이수. (단, 외국인학생은 기계공학부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석사과정에서 기계전공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 인정받은 경우도 인정)할 수 있다.)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그룹의 핵심교과목 최소 1과목을 포함하여 핵심 및 심화교과목 6학점 이상 필수 이수. (석사과정에서 기 이수한 동일 주전공의 핵심교과목 인정. 단, 인정받은 경우에는 심화교과목을 6학점 이상 수강하여야 함)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이외의 타 세부전공 혹은 타학과 교과목 6학점 이상 필수 이수.
-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은 수료학점에 12학점까지만 포함됨. 단,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세 과목) 이상을 필수로 이수(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하여야 하며,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을 합산하여 12학점을 초과 이수한 경우는 이수학점에 포함시키지 않음.
- 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 이상 필수 이수 요건에는 해당사항 없음. 나머지 요건에는 모두 해당됨.
석박사 통합 수료 요건
: 등록횟수 6회이상 16회까지, 60학점 이상, 전 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성적 평점평균 3.0이상
[박사과정인정] 통합과정 학생으로 3학기 이상을 이수하고, 24학점 이상을 취득한 학생은 박사과정으로 인정(2011.04.29.개정).
학점취득
- 60학점 이상 취득, 논문연구학점(지도교수가 개설한 과목 신청) 18학점 이내
-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수료학점의 1/2 범위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이 경우 수강신청 시 “이수승인신청서(학사행정-양식-[대학원] 타학과(부) 대학원, 학사과정 교과목 이수승인신청서)” 를 학부사무실로 제출(학사과정 교양 교과목은 인정불가). 단, 수료학점의 1/2범위 산정시, 수료학점에서 논문연구학점(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포함)을 제외한 잔여 학점을 기준으로 함(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예) 논문연구학점(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포함)을 18학점 이수한 경우 (60-18)/2 = 21학점까지만 인정 가능.
- 학사 과정에서 취득한 대학원 학점은 학사과정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은 학점으로 학점이 B0 이상인 교과목에 한하여 6학점까지 석박사통합과정 수료학점에 포함할 수 있음. 이 경우 학기 초 통산인정 신청 공지 시 "학/석박사통합간 교과학점 통산인정신청서"를 작성하여 성적표와 함께 학부사무실로 제출.
- 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전공지도교수의 추천에 의하여 학부장이 인정하는 타학과(부) 대학원과정 교과목 - 30학점 까지(대학원 과정 통산하여 학사과정 이수학점 6학점 포함) 인정.
전공 교과목 이수 규정(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 「공학연구윤리 및 논문작성」 및 「기계공학 콜로키엄」 필수 이수. (단, 외국인학생은 기계공학부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그룹의 핵심교과목 최소 1과목을 포함하여 핵심 및 심화교과목 12학점 이상 필수 이수.
- 세부전공 그룹 중 주전공 이외의 타 세부전공 혹은 타학과 교과목 12학점 이상 필수 이수.
-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은 수료학점에 18학점까지만 포함됨. 단,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세 과목) 이상을 필수로 이수(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하여야 하며,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을 합산하여 18학점을 초과 이수한 경우는 이수학점에 포함시키지 않음.
- 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 이상 필수 이수 요건에는 해당사항 없음. 나머지 요건에는 모두 해당됨.
주전공 그룹의 정의 및 변경
학생은 지도교수가 속하지 않은 그룹일지라도 기계공학부 내 어떠한 그룹이든지 선택할 수 있으며, 입학 시 모든 학생은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 주전공 그룹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함.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부전공그룹 및 해당교과목 목록
그룹명 | 교과목구분 | 해당교과목 | ||
역학 Mechanics |
핵심 | M2794.007100(446.622) | 연속체역학* Continuum Mechanics |
|
심화 | 역학 기반 |
M2794.007200 (446.618) |
소성역학 Plasticity |
|
M2794.007300 (446.624) |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
|||
M2794.007400 (446.681) |
탄성학* Theory of Elasticity |
|||
M2794.007500 (446.746A) |
판과 쉘 전산해석 Computational Analysis of Plates and Shells |
|||
M2794.007600 (446.774) |
전산나노역학 Computational Nanomechanics |
|||
멀티 스케일 |
M1598.000400 (4461.524) |
유도초음파해석및응용 (舊 멀티스케일유도초음파해석및응용(4461.524)) [변경 2018.06.21.] Guided Ultrasonic Wave Analysis and Applications |
||
M1598.000300 (4461.546) |
나노재료의 제작 및 특성평가 (舊 나노복합재료의 제작및평가(4461.546)) [변경 2017.12.18.]⁂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cale Materials |
|||
설계 기반 |
M2794.007700 (446.685) |
지능재료 및 설계 ⁂ Smart Materials and Design |
||
M2794.007800 (446.779) |
통계기반 공학해석 및 설계 Probabilistic Engineering Analysis and Design |
|||
소속교수 | 김윤영, 조맹효, 윤병동, 김도년 / 박종우, 신용대 | |||
열공학 Thermal Engineering |
핵심 | M2794.007900(446.544) | 고급열역학* Advanced Thermodynamics |
|
심화 | M2794.008000(446.507) | 고급기계공학해석 Advanced Mechanical Engineering Analysis |
||
M2794.008100(446.514) | 고급내연기관론 Advanc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M2794.008300(446.518) | 복사열전달 Radiation Heat Transfer |
|||
M2794.008400(446.524) | 열유동계측 Thermofluid Measurement |
|||
M2794.008500(446.540) | 저온공학 Cryogenic Engineering |
|||
M2794.008200(446.515) | 대류열및물질전달* Convective Heat and Mass Transfer |
|||
M2794.010400(446.776) | 연료전지개론 ⁂ [추가 2014.11.17.] Fuel Cell Fundamentals |
|||
M2794.012300 | 레이저 이용 계측 [추가 2016.04.25.] Laser Diagnostics |
|||
M2794.012600 (M2794.006500) |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舊 에너지공학특강(M2794.006500)) [추가 2018.04.23.] Energy System Modeling |
|||
M2794.012900 | 연소공학원론 [추가 2018.06.21.] Principles of Combustion Engineering |
|||
소속교수 | 고상근, 김찬중, 김민수, 민경덕, 고승환, 송한호, 도형록, 박상욱 / 최만수, 최해천, 차석원, 박형민, 황원태 | |||
동역학/제어 Dynamics, Control |
핵심 | M2794.005300(446.632A) | 제어시스템 1 Control Systems 1 |
|
심화 | M2794.005400(446.607) | 기초음향공학 Engineering Acoustics |
||
M2794.005900(446.630) | 제어시스템 2* Control System 2 |
|||
M2794.005500(446.612) | 로봇역학* Robot Mechanics |
|||
M2794.006000(446.639A) | 벡터공간최적화* Vector Space Optimization |
|||
M2794.005600(446.613A) | 비선형시스템제어 Control of Nonlinear Dynamic Systems |
|||
M2794.005700(446.620A) | 동역학, 제어 및 로보틱스 특론 Advanced Topics in Dynamics, Control and Robotics |
|||
M2794.005800(446.623A) | 차량동역학 및 제어 Vehicle Dynamics and Control |
|||
M2794.006100(446.646) | 진동학 Vibration |
|||
M2794.006200(446.778) | 생체모사로봇공학 Biologically Inspired Robotics |
|||
소속교수 | 이경수, 박종우, 강연준, 조규진, 이동준 / 안성훈, 박용래 | |||
유체공학 Fluids Engineering |
핵심 | M2794.008700(446.548) | 점성유동* Viscous Flow |
|
M2794.008600(446.547A) | 비점성유동 Inviscid Flow |
|||
심화 | M2794.008800(446.502) | 고급가스터빈론 Advanced Gas Turbines |
||
M2794.008900(446.504B) | 마이크로유체역학 Micro Fluid Mechanics |
|||
M2794.009000(446.506) | 기계공학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in Mechanical Engineering |
|||
M2794.009100(446.511A) | 난류유동 Turbulent Flows |
|||
M2794.009200(446.542) | 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
|||
M2794.009300(446.645) | 터보기계 Turbomachinery |
|||
M2794.012400 | 다상유동 [추가 2016.04.25.] Multiphase Flow |
|||
소속교수 | 최해천, 송성진, 김호영, 박형민, 황원태 / 김찬중, 송한호, 도형록 | |||
설계/생산 Design and Manufacturing |
핵심 | M2794.012500 | 정밀제조공정* Precision Manufacturing Processes |
|
M2794.012700 (M2794.012200) |
정밀기계시스템설계 (舊 생산기계설계론(M2794.012200))[추가 2018.04.23.] Precision Machine System Design |
|||
M2794.006700(446.633) | 컴퓨터이용설계 Computer Aided Design |
|||
심화 | M2794.006800(446.636) | 정밀기계계측 Precision Metrology and Vision Inspection (舊 Instrumentation for Measurement Analysis and Control) [영문명 변경 2018.12.11.] |
||
M2794.006900(446.686A) | 제조고려설계 Design for Manufacturing |
|||
M2794.007000(446.777) | 견실최적설계방법론 Robust Optimal Design Methodology |
|||
M2794.011400 | 기계공학 혁신과 창업 [추가 2014.11.03.] Innovation and Start-Up in Mechanical Engineering |
|||
M2794.007700 (446.685) |
지능재료 및 설계 ⁂ [추가 2014.11.03.] Smart Materials and Design |
|||
M1598.000300 (4461.546) |
나노재료의 제작 및 특성평가 (舊 나노복합재료의 제작및평가(4461.546)) [변경 2017.12.18.]⁂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cale Materials |
|||
M2794.010400(446.776) | 연료전지개론 ⁂ [추가 2014.11.17.] Fuel Cell Fundamentals |
|||
M1598.000200 | 로봇 액츄에이션 및 센싱 메커니즘 설계 [추가 2017.04.21.] Actuation and Sensing Mechanisms for Robots |
|||
소속교수 | 박희재, 안성훈, 차석원, 박용래, 이윤석, 이호원 / 강연준, 조규진 | |||
나노/바이오 Nano/Bio |
핵심 | 4461.540 | 멀티스케일가공공정개론* Fundamentals of Multiscale Fabrication |
|
M1598.000300 (4461.546) |
나노재료의 제작 및 특성평가 (舊 나노복합재료의 제작및평가(4461.546)) [추가 2018.03.26.,2019.9.23.]⁂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cale Materials |
|||
심화 | 바이오 응용 |
M2794.006300 (446.684) |
바이오마이크로기전시스템* Bio-MEMS |
|
4461.543 | 나노/바이오융합시스템 Nano/Bio Fusion Systems |
|||
에너지 및 MEMS 응용 |
M2794.006400 (446.531A) |
입자 및 에어로졸공학 Particle and Aerosol Technology |
||
4461.526 | 멀티스케일 물리, 소자이론 [추가 2014.05.26.] Fundamentals of Multiscale Physical Devises |
|||
4461.541 | 마이크로/나노기전시스템제작및실습 Hands on Fabrication of MEMS And NEMS |
|||
M2794.013000 | 기계나노공정개론 [추가 2018.06.21.] Introduction to Mechanical Nanotech Processing |
|||
M3228.000100 | 분자세포조직역학 Molecular, Cellular and Tissue Mechanics |
|||
소속교수 | 최만수, 이정훈, 전누리, 신용대 / 안성훈, 차석원, 김호영, 고승환, 이윤석, 박상욱 | |||
* 타그룹 대상 추천 교과목 ⁂ 다중그룹 소속 교과목 |
고급기계설계문제연구1,2,3,4
세부 전공그룹의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고급기계설계문제연구1,2,3,4” 교과목의 세부전공그룹 과목 인정 여부는 지도교수 및 교과목 담당교수의 승인 여부에 따르기로 함 (2018.3.26. 운영위원회 회의 결과)
대학원 전 과정 필수 과목 목록 (석사/박사)
- 공학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M1570.000300)
- 기계공학 콜로키엄 (M2794.005200)
경과조치
전공 교과목 이수 규정(2020학년도 입학자까지)
- 이 규정 개정 전 석사과정 입학자(2020학년도 입학자까지)는 종전의 규정을 적용하여 논문연구과목은 6학점까지만 인정됨. 또한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과 우주항공공학 세미나(M2795.008800) 과목은 수료학점에 포함되지 아니함.
- 이 규정 개정 전 박사과정 입학자(2020학년도 입학자까지)는 종전의 규정을 적용하여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과 우주항공공학 세미나(M2795.008800) 과목은 수료 학점에 12학점까지만 포함됨. 또한 논문연구과목과 세미나 과목을 합산하여 박사과정 12학점을 초과 이수한 경우는 이수학점에 포함시키지 않음. 외국인학생은 기계공학전공 대학원 세미나 과목을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음. *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 이상 필수 이수 요건에는 해당사항 없음
- 이 규정 개정 전 석박사통합과정 입학자(2020학년도 입학자까지)는 종전의 규정을 적용하여 논문연구 및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S/U)과)과 우주항공공학 세미나(M2795.008800) 과목은 수료 학점에 18학점까지만 포함됨. 또한 논문연구과목과 세미나 과목을 합산하여 석박사통합과정 18학점을 초과 이수한 경우는 이수학점에 포함시키지 않음. 외국인학생은 기계공학전공 대학원 세미나 과목을 대학원 전공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음. * 기계공학부 대학원 세미나 과목 3학점 이상 필수 이수 요건에는 해당사항 없음
※ 수강 신청 (http://sugang.snu.ac.kr)
- 매학기 수강신청 학점은 12학점을 초과할 수 없음.
-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교과목은 통합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박사과정에서 다시 이수하였을 경우에는 중복이수가 되어 박사과정 수료학점에 포함되지 않으나 재수강 처리는 되지 않고 학점이나 평균에 모두 반영됨.
- 교과목을 이수할 때 학·석·박사 각 과정에서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는 교과목 (군사학, 논문연구 등) 이외에는 동일 명칭의 과목 (학기 완성 과목과 통년 완성 과목 모두)을 중복 이수하여서는 안 됨.
- 대학원 과정에서 교과목군 Ⅱ로 지정된 교과목으로서, 부제목이 다를 경우에는 별개의 교과목으로 인정되어 중복 처리되지 아니함.
- 대학원생을 위한 영어교과목 990.664 고급영어학술작문 / 990.665 학술연구영어연습 / 990.666 고급영어학술발표 는 수료학점에 불포함.
- 수료 기준 평점 평균은 3.0 이상이나, 학생이 원할 경우 3.0을 만족하지 않아도 수료 가능하며, 이후에는 연구생등록이 불가하여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없으므로 졸업은 가능하지 않음.
- 대학원 과정의 학생은 학과(부)장의 승인을 받아 이수한 학사과정 교과학점을 대학원과정 통산 6학점 이내에서 대학원과정 수료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나, 대학원과정 통산 인정학점에 학사과정의 교양교과목 이수학점은 원칙적으로 산입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