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서울경제] 윤병동 교수, [科技 골든타임놓치면 하청국가 된다] "교수 업적평가에 '창업 요인' 넣어야 학교도 살고 벤처도 산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3-22
조회
787

[科技 골든타임 놓치면 하청국가 된다] "교수 업적평가에 '창업 요인' 넣어야 학교도 살고 벤처도 산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글로벌 강소기업 도전' 윤병동 서울공대 교수

논문 줄어 불이익 받을까 외면

시스템 바꿔야 창업 문화 정착

 



윤병동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지난 20일 서울대 연구공원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대학의 혁신성장과 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수 평가 시스템 개편을 강조하고 있다. /고광본선임기자

 

 



“교수에게 정부가 연구개발(R&D) 과제를 줄 때나 대학의 승진 업적평가에서 이공대조차 창업 요인이 전혀 반영되지 않습니다. 정부가혁신성장하겠다며 대학의 도전정신이나 창업가정신을 아무리 강조해도 허공에다 외치는 것밖에 안 돼요.”

 

벤처기업가인 윤병동(49·사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지난 20일 서울대 연구공원에서 기자와 만나교수 업적평가나 R&D 과제평가가 논문이나 특허 위주여서 교수의 기술이전은 물론 연구실 창업을 통한 고용창출·매출 등을 반영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 등을 거친 그는 2016년 공장 등 산업현장의 오류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는 첨단 솔루션 기업인 원프레딕트를 창업했다. 지난 2년 반 동안 미국·독일 등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며 고용도 이미 30명이나 창출했다.

 

글로벌 강소기업을 꿈꾸는 윤 교수는서울공대마저도 400명 가까운 교수 중 창업자는 수십 명 있으나 진지하게 회사를 운영하는 경우는 몇 손가락에 꼽을 정도라고 전했다. 정부가 교수나 연구원의 기술 기반 창업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평가 시스템을 바꿔야 벤처 창업 문화도 조성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교수 업적평가가 좋아야 정부 과제도 잘 따는 현실에서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국토교통부 등이 창업 등 책임자의 우수성을 일정 부분 반영해 이공계 교수가 창업에 도전하도록 장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교수나 연구원이 창업해도 당장 돈을 버는 것도 아닌데 논문이 줄어 업적평가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을 굳이 감수하겠느냐는 게 그의 지적이다. 미국이 교수 평가에 논문 등 정량적 평가는 물론 창업을 통한 고용창출, 특허 사업화, 매출, 사회 기여, 콘텐츠 등에 대한 정성평가를 포함하는 점을 참고하라는 얘기다.

 

윤 교수는정부나 대학이 정량평가에 치중하는 바람에 이공계에 창업 아이템이 무궁무진하고 다양한 벤처지원금이 있는데도 창업 활성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기술이전이나 기술 기반 창업 모두 태부족인 게 대학의 현실이라고 털어놓았다.

 

정부가 현장 맞춤형 리더십을 행사하고 대학에서도 창업과 기술이전 지원을 위한 산학협력단의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지적은 끊임없이 나왔다. 정부 연구비를 따면 약 30%는 산학협력단(단과대와 학과 포함)이 간접비로 징수하는데 여전히 연구자가 행정업무를 하느라 낭비가 크다는 것이다.

 

그는국내 대학은 전반적으로 미국처럼 특허 출원을 잘 돕거나 교수의 기술을 기업과 연결해주는 것이 부족하다고 애로를 호소했다. 실제 대학이 교수의 특허권을 갖고 있는 만큼 미국처럼 교수와 기업을 잘 연결하면 모두 윈윈할 수 있는데 국내 대학은 특허를 관리·활용하지 못하고 3년 이상이 지나면 헐값에 처분하고 마는 게 현실이다.

 

결국 교수의 논문이나 특허가 산업에 거의 활용되지 못하는 게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윤 교수는특허를 위한 특허, 논문을 위한 논문을 만드는 것이지 산업에 기여하기 위해 특허나 논문을 내는 게 아니다라며 “( 5만개가 넘는) 정부의 R&D 과제 성공 판정률이 98%라고 하는데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되는 것은 열에 하나도 안 될 것이라고 답답함을 표시했다. 국내 최고의 서울대조차 특허수입이 연 50억원 정도에 그치는 등 국내 대학의 특허 사업화 부진은 고질병이 됐다.

 

그는정부 R&D 시스템도 미국처럼 연구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되 부정이 있으면 엄격히 단죄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 반대라고 꼬집었다.

 

윤 교수는정부가 교수와 연구원의 창업이나 기술이전이 원활히 이뤄지게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혁신성장의 선순환을 꾀할 수 있다학생들도 처음부터 창업에 도전하는 것보다 좋은 벤처에 들어가 충분히 경험을 쌓은 뒤 창업을 해야지 섣불리 뛰어들면 위험하다고 조언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OCYXYLI